티스토리 뷰
목차
얼마 전에 피부과 진료를 받기 위해 병원에 갔는데 접수할 때 신분증을 달라고 하시더라고요. 그동안 병원을 다니면서 신분증을 제시한 적은 한 번도 없었어서 당황했는데 지금은 병원 갈 때 신분증 지참이 필수라고 합니다. 허용되는 신분증 및 실물 신분증이 없는 경우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발급받는 방법을 빠르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1. 병원 신분증 지참 확인
본인 확인 의무화 제도의 도입 목적은 본인 확인을 통해 정확한 진료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단 미 약물 오남용을 예방하는 목적이 있으며 타인의 건강 보험을 도용해 진료를 받는 악용 사례를 방지하기 위함도 있습니다.
따라서 병원 갈 때 신분증 지참이 필수가 되었으며 약국 등 모든 의료 기관이 해당됩니다. 만약 신분증을 챙기지 못했더라도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 또는 간편 인증 QR 코드를 제시해 본인 확인이 가능하므로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:)
2. 본인 확인이 가능한 수단
1. 신분증
주민등록증, 운정면허증, 여권(주민번호 뒷자리 있는 버전), 외국인등록증, 장애인등록증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.
2. 전자 서명 인증서
공동 인증서(구 공인 인증서), 금융 인증서, 간편 인증(PASS, 네이버 및 카카오 인증서, 삼성페이) 등
3. 전자 신분증
모바일 운전면허증, 모바일 신분증, 모바일 건강보험증, 주민등록증 확인 서비스 등
신분증을 깜빡하고 챙기지 못했다면 간편 인증 서비스 또는 아래 전자 신분증 발급 방법을 추천드립니다.
3. 모바일 신분증 발급 방법
병원에 갔을 때 신분증을 깜빡하고 챙기지 못한 경우가 자주 발생할 수 있는데요.
이때 모바일 건강 보험증 앱을 설치해 본인 인증이 가능합니다.
1. 구글 play 스토어 또는 app 스토어를 통해 '모바일 건강 보험증'을 설치
2. 간단한 본인 인증 완료
3. 병원 접수처에 제시하기
▼ 모바일 건강 보험증 설치 바로가기
4. 신분증 지참 예외 대상
19세 미만 미성년자는 이전과 동일하게 주민번호만 얘기하면 접수가 가능합니다. 이 외 진료 의뢰 및 회송받는 경우, 응급 환자, 임산부, 중증 장애인 등 또한 예외 대상입니다. 병원에서 신분증을 내고 접수 및 진료를 받은 후 처방전을 지참하고 약국에 방문하는 경우에는 신분증을 별도로 제출하지 않아도 됩니다.
5. 마무리
오늘은 병원 갈 때 신분증 지참이 필수가 되며 없을 때 발급받을 수 있는 모바일 신분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5월 20일부터 시행된 제도에 따라 앞으로 병원을 가기 전에 꼭 신분증을 챙기시기 바라며 핸드폰에 모바일 신분증을 준비해 놓으면 보다 편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.